반응형

정원의 꽃과 나무 69

불두화 - 부처님 머리처럼 곱슬곱슬한

불두화 - 무성화만 핀다 꽃 : 무성화(장식화)만 핀다. 꽃색은 황록색이 돌다가 점차 흰색으로 변한다. 겨울눈 : 긴 달걀형이며, 가지 끝에 2개의 가짜끝눈이 붙는다. 잎 : 마주나기. 보통은 3갈래로 갈라지지만 갈라지지 않은 것 등 변화가 다양하다. 수피 : 짙은 갈색이고 사마귀 같은 껍질눈이 있다. 성장하면서 가늘게 갈라지고 코르크층이 발달한다. 불두화는 백당나무에서 생식기능을 제거하고 육성한 원예종으로 일명 수국백당이라고도 부른다. 백당나무 꽃은 가운데에 작은 정상화(유성화)가 있고 그 주변에 큰 장식화(무성화)가 있는데 비해, 불두화는 모든 꽃이 지름이 15cm 정도의 공처럼 생긴 무성화로 이루어져 있다. 불두화는 수국과 함께 수구화(繡毬花)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그 뜻은 비단에 둥근 공과 같..

양산 통도사 자장매

통도사의 자장매가 피었는지 가봤습니다. 아직은 이른듯 듬성듬성 꽃이 피어 있네요. 사진작가들도 2~3명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약 2주일 정도 더 있으면 만개할듯하네요 350년 된 자장매 나무굵기 보고 나이를 가늠하기는 힘들다. , 자장매 보다 좀 더 많이 핀 홍매 22.2.27일에 갔는데 자장매도 아직 덜 피었고 다른 홍매들도 많이 피지 않았다. 2주후에 가면 만개할것 같은데 그때는 또 사진 찍기가 힘들것 같다. 봄을 먼저 느끼게 해주는 매화, 다른 이름 자장매

병아리꽃나무 - 병아리처럼 귀여운 꽃

병아리꽃나무 - 검은 진주 모양의 열매 꽃 : 양성화. 새가지 끝에 흰색 꽃이 1개씩 핀다. 겨울눈 : 달걀형이며, 6~12개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곁눈에는 가로덧눈이 붙는다. 잎 : 마주나기. 달걀형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톱니가 있다. 잎맥이 패이고 깊은 주름이 있으며, 직선으로 나 있다. 열매 : 수과. 타원형이고, 광택이 나는 4개의 검은색 열매가 모여 달린다. 병아리꽃나무는 4월에 지름 3~4cm 정도의 흰 꽃이 피우는데, 이 순백의 하얀 꽃을 병아리에 비유하여 붙인 이름이다. 속명 로도티포스(Rhodotypos)는 장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로돈(rhodon)과 모양이란 의미의 티포스(typos)의 합성어로 병아리꽃이 찔레꽃을 닮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종소명 스칸덴스(scandens)..

생강나무 - 산수유꽃과 비슷한

이른 봄에 산에서 만나는 노란꽃 암꽃 : 암수딴그루. 잎이 나오기 전에 가지마다 노란색 꽃이 모여 핀다. 수꽃 : 잎 : 어긋나기. 잎끝이 3갈래로 갈라진 갈래잎이다. 잎밑 부분에서 3개의 큰 잎맥이 뻗어 있다. 수피 : 연한 갈색이고 평활하며, 껍질눈이 있다. 성장함에 따라 가늘게 갈라지는 것도 있다. 열매 : 장과. 구형이며, 적갈색에서 흑자색으로 익는다. 겨울눈 잎눈(상), 꽃눈(하): 잎눈은 물방울형이고 3~4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꽃눈은 구형이고 2~3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이른 봄, 추위가 가시기 전에 잎보다 먼저 노란 꽃망울을 터트리는 꽃이 생강나무와 산수유다. 생강나무나 산수유는 모양과 색 그리고 피는 시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구별이 어렵다. 가까이 가서 나뭇가지에 꽃이 달리는 모..

산수유 - 생강나무꽃과 비슷한 노란색 꽃

산수유 - 봄에 일찍 피는 노란 꽃 꽃 :양성화. 짧은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20~30개씩 모여 핀다. 겨울눈 : 꽃눈 꽃눈은 구형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다. 잎눈은 긴 달걀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열매 : 핵과. 타원형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신맛과 떫은맛이 난다. 수피 :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오래되면 회갈색으로 변하며, 얼룩덜룩한 무늬가 생긴다. 잎 : 마주나기. 넓은 달걀형이며, 톱니가 없다. 뒷면 잎겨드랑이에 갈색 털이 뭉쳐난다. 산수유 한약재 산수유라는 이름은 쉬나무에서 유래된 것으로 수(茱)는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는 뜻이고, 유(萸)는 열매를 생으로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수유(茱萸)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나무는 대부분 열매가 약으로 사용되는 나무이며, 식수유(쉬나무)·오수..

풍년화 - 풍년을 불러오는 꽃나무

일본이 원산지인 꽃나무 꽃 : 양성화.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 1개 또는 여러 개의 노란색 꽃이 핀다. 수피 : 연한 갈색이며 타원상의 껍질눈이 있다. 성장함에 따라 회갈색으로 변한다. 열매 : 삭과. 달걀 모양의 구형이며, 갈색으로 익는다. 익으면 2갈래로 갈라져 2개의 종자가 나온다. 겨울눈 : 꽃눈은 달걀형이며 눈자루가 있고, 2~4개가 무리로 달린다. 눈비늘이 있지만 일찍 떨어진다. 잎 : 어긋나며, 약간 찌그러진 마름모꼴이다. 잎모양은 변화가 많으며, 좌우가 비대칭형이다. 붉은풍년화(Loropetalum chinense) 풍년화의 원산지는 일본이다. 일본에서는 만사쿠(滿作)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는 풍작(豐作)을 뜻한다. 1931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면서 비슷한 뜻의 풍년화라는 이름으..

백목련 - 나무에 피는 연꽃

백목련 - 북향화 잎 : 어긋나기. 거꿀달걀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끝이 급히 뾰족해진다. 겨울눈 : 긴 털로 덮인 2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꽃 : 양성화. 잎이 나기 전에 흰색 꽃이 피며, 향기가 좋다. 열매 : 골돌과. 타원형이고 붉은색으로 익으며, 닭벼슬처럼 생겼다. 자목련(M. liliflora) 꽃잎 안쪽과 바깥쪽이 모두 자주색인 것. 수피 : 회백색이고 껍질눈이 있으며, 평활하다. 노목에서는 세로로 불규칙하게 벗겨져서 떨어진다. 백목련의 속명 마그놀리아(Magnolia)는 18세기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의 식물학 교수인 피에르 마그놀(Pierre Magnol)을 기념하여 붙인 것이며, 종소명 데누다타(denudata)는 ‘벌거벗다’는 뜻으로 잎이 나오기 전 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면..

박태기나무 - 자주색 꽃봉오리가 가지 가득

형제애를 상징하는 나무 꽃 : 양성화. 잎이 나기 전에 가지마다 10~20개의 홍자색 꽃이 무더기로 모여 핀다. 겨울눈 : 황갈색이고 작은 껍질눈이 있으며, 평활하다. 성장함에 따라 회갈색으로 변한다. 잎 : 어긋나기. 전형적인 하트 모양이며, 톱니가 없다. 잎자루는 붉은 빛을 띠며, 양끝이 부풀어 있다. 열매 : 협과. 콩꼬투리 모양의 열매가 갈색으로 익는다. 그 속에 5~8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잎이 피기 전에 쌀알만 한 자주색 꽃봉오리가 가지 가득히 달리는데, 그 모양이 마치 튀긴 쌀 즉 튀밥이 붙어 있는 듯하여 박태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영어 이름 차이니스 레드버드(Chinese redbud)는 중국이 원산이고, 꽃이 붉은 싹 모양인 것을 나타낸다. 북한에서는 구슬꽃나무라고 하는데, 박태기나무보다..

목련 - 목련과 백목련의 구별은?

박목월 시인의 ‘4월의 노래’가 있다.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꼭 4월이 아니더라도 봄이 오면 흥얼거리는 노래다. 꽃 : 양성화. 잎이 나기 전에 가지 끝에 흰색 꽃이 피며, 꽃잎이 6~9개이다. 향기가 좋다. 겨울눈 : 꽃눈은 긴 털이 난 2개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열매 : 골돌과. 분홍에서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붉은색을 띤다. 잎 : 어긋나기. 넓은 거꿀달걀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끝이 급히 뾰족해진다. 목련과의 친구들을 영어권에서는 매그놀리아(magnolia)라 부르는데, 이들은 1억 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해 온 귀중한 꽃나무이다. 목련류만큼 목련이라는 하나의 이름을 여러 곳에 적용시킨 예도 흔치 않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목련..

모란 - 작약과 비슷한 꽃

모란 - 부귀를 상징하는 꽃 잎 : 어긋나기. 세겹잎이 두 번 붙는 2회3출겹잎이다. 작은 잎은 달걀형이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골돌과. 긴 타원형이며, 갈색으로 익는다. 황갈색의 털이 많다. 꽃 : 양성화. 가지 끝에 1개의 큰 꽃이 핀다. 꽃색은 백색, 분홍색, 적색, 적자색 등 다양하다. 겨울눈 : 달걀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6~8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모란은 예로부터 ‘꽃 중의 꽃(花中王)’으로 군림해왔다. 활짝 핀 모란꽃은 매우 호화롭고 복스러워 보이지만 야하지 않아서 마치 군자의 모습을 대하는 듯하다. 우리나라 전통 민화 속에서도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귀화라고도 불린다. 모란꽃은 나이 80세를 의미하여, 그림에 모란꽃을 그려 넣으면 ‘80세까지 부귀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