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연기념물 16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23.3.29.수. 제주도 2주살기 12일째. 작년에는 4월에 왔더니 활짝 피어서 보기 좋았는데 이번에는 꽃이 아직 덜 피었다. 시내 쪽에는 활짝 피었던데 여기는 좀 늦게 피는 것 같다. 그래도 왔으니 사진이라고 남길려고 찍었다. 여전히 3번목은 찾기 힘들다. 표지판이라도 해두면 좋을텐데... 1번목 왕벚나무, 아직 꽃이 덜 피었다. 2번목도 아직 꽃망울이 맺혀있다. 아쉽지만 입구에 있는 벚꽃나무를 찍었다 지도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 - 제주도 한달살기(22.4.10.일)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지정 번호 : 천연기념물 제159호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강동 산2-2 지정면적 : 1,357㎡ 지정일 : 1964년 1월 31일 516도로에 세워진 봉개도 왕벚나무 자생지 표지판 입지환경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는 제주시의 동부산업도로 변에 있다 나무는 길에서 보이는 한 그루와 100m쯤 떨어진 작은 언덕 나무에 또 한 그루가 있고, 여기서 다시 조금 떨어진 계류변에도 작은 나무가 한 그루 더 있다. 나무 높이는 대체로 11m 전후이며 밑 부분의 굵기가 두 아름쯤 된다. 원줄기는 벌채되고 맹아가 자랐다고 한다. 나무 주위에 석축을 쌓고 복토를 했다. 두 그루의 왕벚나무는 정비를 잘 해놓은 상태이나, 마지막 한 그루는 자연 상태로 나무 아래에는 계절에 따라 복수초무..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2호)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지정번호 : 천연기념물 제302호 소재지 :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2 지정일 : 1982년 11월 9일 수종 : 은행나무 나이 : 600년(추정) 크기 : 높이 24.5m, 가슴높이 줄기둘레 9.1m, 수관폭 동서 2.8m, 남북 19.4m 특징 은행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불교와 유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공자가 제자를 가르친 행단을 염두에 두고 우리나라에서도 옛날 서원이나 향교의 뜰에 많이 심었고, 가을 단풍이 아름답고 비교적 병충해가 적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하는 특성이 있어서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이 세간리 은행나무는 지상 2m쯤 되는 곳에서 큰 가지들이 여러 갈래..

의령 세간리 현고수(느티나무)

의령 세간리 현고수(느티나무) 나 이 : 450살(추정) 지정일 : 2008.03.12. 소재지 :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741-1 특징 : 세간리 마을 입구에 위치한 노거수로 너무 모양이 전체적으로 거의 ‘ㄱ’자형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나무만 보아도 이 나무가 ‘북’을 걸었던 나무임을 직작할 수 있을 정도다. 나무는 근원주위보다도 가슴높이의 줄기둘레가 오히려 크게 보일 정도로 줄기의 하부가 울퉁불퉁하게 굵어져 있고, 대신에 지상 약 2m 높이 이상에서는 갑자기 가늘어진 특이한 형태다. 줄기는 내부가 썩은 것을 외과처리 한 듯 큰 충전부위가 있고, 약 4~5m 높이에서 큰 줄기 하나가 거의 수평으로 생장하여 ‘북’을 매달기 알맞은 형태를 하고 있어 이 가지가 크게 수관을 형성했기 때문에 이쪽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