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여행 250

위미 동백나무 군락지과 제주동백수목원

위미 동백나무 군락지 위미 동백나무 군락은 현맹춘 할머니가 17살에 혼인하여 남편이 있던 이 마을로 와서 집 주변에 방풍수로 심은 것이 지금까지 자라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백나무는 제주도에서는 오래된 마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붉은 꽃이 아름다운 나무이며, 제주에서는 흔히 돔박낭이라고 부르고 있다. 크게 자라고 가지가 촘촘하기 때문에 추운 바람을 막아주어 집안 전체를 포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반짝이는 진녹색 나뭇잎과 빨갛게 피어난 꽃이 대비를 이루어 아름답고, 눈이라도 내리는 날이면 하얀 눈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것이 마치 색의 향연을 보는 듯하다. 조금 늦게 와서 동백꽃은 거의 지고 볼 수 없었다. 제주 산간 지역에서는 동백꽃을 볼 수 있는데 이곳 해안지역은 벌써 꽃이 진 상태이다. 군락지의 동..

용두암과 용연

공항 근처 해안에 있는 용두암은 제주관광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다. 내가 신혼여행왔을 때도 둘러본 곳이다. 공항과 가장 가까운 관광지로 해외 여행자나 단체 여행객들이 자주 찾는 관광지다. 용이 포효하며 바다에서 솟구쳐 오르는 형상을 따 용두암이라 이름 지어졌다. 용두암과 용연 안내판 용두암 표지석과 안내판 용두암으로 내려가는 길에 있는 인어상 용두암의 전설 전설에 의하면 인근 계곡 용연에서 살던 용이 승천하려다가 돌로 굳어졌다고 한다. 겉으로 드러난 부분의 높이가 10m, 바다 속에 잠긴 몸의 길이가 30m 쯤 된다고 하니, 괴암을 응시하고 있자면, 정말로 용이 꿈틀거리는 것 같은 상상을 할 법도 하다. 용두암을 제대로 보려면 파도가 심한 날 보면 신의 노여움 속에서 울부짖으며 바다속에서 솟구치는 용의 모..

제주도립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미술관 전면에 있는 조형물 - 임춘배 - 강민석 모든 작품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같은 형상의 작은 모형을 설치해 놓은 것이 이채롭다. - 강시권 - 김방희 - 이승수 장리석 화백은 제주의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많이 남겼다. 미술관 입구, 연못이 있어서 미술관 건물이 반영된 모습을 보인다. 전시 중인 작품 - 장리석 장리석 화백의 주요 소재인 '해녀', '바다'에 대하여 총괄적인 작품이다. 캔버스 크기는 1000호에 해당. 이 작품은 한국수출입은행이 제주도립미술관에 기증한 것이다. 홍종명 작가의 탄생 100주년 특별전 전 중에서 홍성석 작가의 기증기념 특별전 중에서 미술관 옥상에 설치된 조각 작품 지도

효섬마을 초가집 - 제주 한화리조트 근처 맛집

전화 064-725-7750 한라리조트 들어가는 길에 있는 효섬마을 초가집 상호처럼 지붕은 초가로 이었다. 앞 마당에 핀 수국. 제주에는 수국을 많이 심는다. 도로변에서 약간 들어 간곳에 위치해서 잘 안보여서 그런지 '영업중'이란 안내판이 있다 마당 우측에 박태기나무와 개 3마리가 있다. 개들은 크지만 모두 순한 듯, 개를 만지거나 해코지 하지말라는 안내판이 있다. 들어가는 문에 메뉴와 가격표가 있다. 매주 수요일은 휴무일. 화요일은 3시부터 영업 메뉴판 제주도 사투리는 어려워 내부 장식. 부엉이, 기린, 고양이 소품이 있다 밑반찬 6가지 무우장아찌, 취나물 무침. 샐러드, 김치, 고등어 반마리, 무생채, 녹두나물 남편은 전복뚝배기 제주 특산 소주 1명을 시켰다 난 전복돌솥밥 제주도 사투리는 정겹다 매주..

제주 산천단 곰솔 군, 산천단 - 제주도 한달살기(22.4.11.월)

산천단 곰솔군 지정번호 : 천연기념물 제160호 소재지 : 제주도 제주시 아라동 357-1 수종 : 곰솔 나이 : 500~600년(추정) 크기 : 높이 21~30m, 가슴높이 줄기둘레 3~6m, 수관 폭 12~24m 입지환경 제주시에서 서귀포로 가는 제1횡단도로의 약 8km 지점 도로변에 산천단이 있고, 이곳에 8그루의 곰솔이 있다. 전체적인 지형은 경사지에 단을 만들어 도로를 개설하였는데, 도로 옆 넓은 공간에 곰솔이 있고 아래쪽에는 관리용 부대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나무의 위쪽은 완경사로서 키 작은 관목류와 덩굴성식물이 엉켜 있고, 그 외곽으로 상록활엽수종들이 낮은 숲을 형성하고 있다. 이 일대는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부대가 주둔했던 곳이라고 하는데, 일본 폐망 직전 중국에서 약탈한 금괴와 골동품을 이..

제주도 관음사 - 제주도 한달살기(22.4.11.월)

관음사 소개 & 역사 관음사 일주문 일주문에서 사천왕문 사이에 양옆으로 편백나무가 심어져있다. 그 앞에 많은 작은 불상이 놓여져 있다. 각각 표정과 손 모양이 다르다. 사천왕문 사천왕문을 지나 대웅전으로 가는 길 우측에 이 절을 창건한 안봉려관 스님의 조각상과 3년간 관음기도를 한 해월굴이 있다. 해월굴과 안내판 관음사의 왕벚나무 자생지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전 산신각 방사탑과 안내문 대웅전 뒷편의 미륵대불 제주 관음사 동영상 제주 관음사 지도

신비의 도로(도깨비 도로) - 제주도 한달살기(22.4.11.월)

제주시 노형동에 있는 착시 현상을 일으키는 도로 '신비의 도로' 안내판 일명 '도깨비 도로'라고도 부른다. 신비의 도로로 불리는 이 구간은 지표 측량에 의해 오르막길로 보이는 쪽이 경사 3도 정도의 내리막길이며, 주변 지형 때문에 착시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밝혀졌다. '신비의 도로' 시작점 시점에서 종점까지 약 100m 거리 '신비의 도로' 종점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오르막 구간이지만 굴러가는 물건을 놓으면 위로 올라간다. '신비의 도로' 동영상 '신비의 도로' 지도

절물자연휴양림 - 제주도 한달살기(22.4.10.일)

절물자연휴양림 절물자연휴양림 입구 주차장 매표소 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절물자연휴양림 안내도 절물오름 올라가는 입구 휴양림 입구의 안내판 피톤치드 삼나무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방문 기념 안내판 이해인 수녀(시인) 방문 안내판 입구에 들어서면 좌우에 삼나무가 즐비하다 절물오름 입구의 연못 절물오름 입구 절물오름 안내판 절물오름 올라 가는 길 절물오름 정상에서 본 주위의 풍경 여러 곳에 오름이 있다 오름 정상에서 '장생의 숲길'로 가는 길 내려오는 길에 '너나들이길'을 걸어서 왔다. 절물자연휴양림에서 만난 식물 현호색 개별꽃 세복수초 흰괭이밥 개구리발톱 등수국 제주조릿대 으름덩굴 절물자연휴양림 지도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 - 제주도 한달살기(22.4.10.일)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지정 번호 : 천연기념물 제159호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강동 산2-2 지정면적 : 1,357㎡ 지정일 : 1964년 1월 31일 516도로에 세워진 봉개도 왕벚나무 자생지 표지판 입지환경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는 제주시의 동부산업도로 변에 있다 나무는 길에서 보이는 한 그루와 100m쯤 떨어진 작은 언덕 나무에 또 한 그루가 있고, 여기서 다시 조금 떨어진 계류변에도 작은 나무가 한 그루 더 있다. 나무 높이는 대체로 11m 전후이며 밑 부분의 굵기가 두 아름쯤 된다. 원줄기는 벌채되고 맹아가 자랐다고 한다. 나무 주위에 석축을 쌓고 복토를 했다. 두 그루의 왕벚나무는 정비를 잘 해놓은 상태이나, 마지막 한 그루는 자연 상태로 나무 아래에는 계절에 따라 복수초무..

노루 생태관찰원, 거친오름 - 제주도 한달살기(22.4.9.토)

오늘은 노루 생태관찰원과 거친오름을 찾았습니다. 이 두 곳은 입장료 1,000원으로 같이 볼 수 있다. 노루생태관찰원은 제주시 명림로 520(봉개동)에 있으며, 면적은 52ha, 2007년 8월 3일 개장하였다. 거친오름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루 생태관찰원 입구 매표소 노루생태관찰원 안내판 요금 및 이용시간 노루생태원과 거친오름 안내도 생태원 입구에 작은 어린이놀이터가 있다 노루생태체험원 입구를 들어서면 이 있는데, 노루에게 먹이를 주는 체험을 하는 곳이다. 3시 반까지 입장해야만 노루에게 먹이를 주는 생태체험을 할 수 있다. 먹이를 주는 곳에 한 마리 노루가 있다. 노루는 엉덩이에 흰 털이 있다. 또 뿔이 있으면 숫노루다. 노루에 대한 상식을 적은 안내판이 체험원 옆에 여러 개 세워져 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