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원의 꽃과 나무 69

자두나무 - 조선왕실의 상징꽃

조선왕실의 상징꽃 꽃 : 양성화. 잎이 완전히 나오기 전에, 가지마다 흰색 꽃이 흔히 3개씩 핀다. 겨울눈 : 꽃눈은 짧은 물방울형이고, 잎눈은 짧은 원추형이다. 가로덧눈이 있기도 하다. 잎 : 어긋나기. 거꿀피침형이며, 잎의 윗부분이 최대 폭이다. 잎자루에 2~5개의 꿀샘이 있다. 수피 : 어릴 때는 짙은 자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성장함에 따라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열매 : 핵과. 구형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표면에 흰색 분이 약간 생긴다. 은제이화문탕기(銀製李花文湯器) 자두나무는 자도나무 혹은 오얏나무라고도 부른다. 예로부터 복숭아·살구·밤·대추와 더불어 오과(五果) 중 하나로 귀한 과일로 여겼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언제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이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삼국사기》에 백제 온조..

능소화 - 한여름을 대표하는 꽃

능소화 - 양반꽃 잎 : 마주나기. 3~5쌍의 작은잎을 가진 홀수깃꼴겹잎이다. 잎축에 세모로 모가 져있다. 겨울눈 : 달걀형이고 작다. 관다발자국은 둥글게 배열되어 있다. 꽃 : 양성화. 새가지 끝에서 깔때기 모양의 황적색 꽃이 모여 핀다. 열매 : 삭과. 국내에서는 열매를 잘 맺지 않는다. 수피 : 회갈색을 띠며, 성장함에 따라 표면이 얇은 리본 모양으로 벗겨진다. 미국능소화(C. radicans) 업신여길 능(凌), 하늘 소(霄), 꽃 화(花). ‘하늘을 업신여기고 계속 올라가는 꽃’이라는 뜻의 이름은 꽃 모양만큼이나 멋지다는 느낌이 든다. 시중에는 중국원산의 능소화와 미국능소화 2종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보는 중국원산의 능소화는 고대 중국에서는 약용으로 재배하였다고 하며, ..

자작나무 - 하얀 수피가 아름다운 나무

나무의 여왕, 숲의 백미 잎 : 어긋나기. 삼각상의 넓은 달걀형이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짧은 가지에 2장씩 모여 달린다. 열매 : 소견과. 열매이삭은 원통형이고 아래를 향해 달리며, 다갈색으로 익는다. 꽃 : 암꽃차례(위)과 수꽃차례(아래) 암수한그루. 4~5월에 잎이 나면서 함께 꽃이 핀다. 암꽃차례는 햇가지, 수꽃차례는 전년지에 달린다. 겨울눈 : 잎눈과 암꽃눈은 비늘눈이고 긴 달걀형이다. 수꽃눈은 맨눈으로 겨울을 난다. 수피 : 어릴 때는 적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성장함에 따라 수피 전체가 백색으로 변하며, 종잇장처럼 옆으로 벗겨진다. 경주 천마총 장니천마도 자작나무껍질에 그려진 천마도. 국보 제207호. 자작나무 껍질은 기름기 성분이 있어서 불에 탈 때 ‘자작자작’ 하고 소리를 내며 탄다..

찔레꽃 - 국민가요로 널리 알려진 꽃

장미의 원종 잎 : 어긋나기. 5~9장의 작은잎을 가진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형이며, 잎축에 가시가 있다. 겨울눈 : 달걀형 또는 원뿔형이고 붉은색을 띤다. 4~6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꽃 : 양성화. 가지 끝에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 꽃이 모여 피는데, 좋은 향기가 난다. 열매 : 장미과.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백난아가 부른 트로트곡으로, 우리나라 야산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찔레꽃을 소재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향수를 자극하는 가사가 광복과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시대적 상황과 맞아떨어져 꾸준한 인기를 얻어 ‘국민가요’로까지 자리매김하게 되..

등나무 - 갈등의 대명사

칠등팔갈, 좌등우갈 꽃 : 양성화.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나비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모여 핀다. 열매 : 협과. 콩꼬투리 모양의 열매가 달린다. 표면에 비로드 같은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잎 : 어긋나기. 작은잎이 5~9쌍인 홀수깃꼴겹잎이다. 잎자루 밑부분에 엽침이 있다. 수피 : 회갈색이며, 표면이 거칠다. 반시계방향(좌권)으로 감고 내려간다. 흰등(Wisteria floribunda f.alba) 겨울눈 : 물방울형이고 2~3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겨울눈의 밑부분 양옆이 부풀어 있다. ‘갈등’이란 칡나무와 등나무를 뜻하며, 일이 서로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어다. 다산 정약용도 칠등팔갈(七藤八葛)이란 표현을 즐겨 썼다. 등넝쿨이 일곱이고 칡넝쿨이 여덟이다. 즉 이 둘이 ..

덩굴장미 - 담장이나 아치에 올리는 장미

줄장미라고도 부른다 잎 : 어긋나기. 2~3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겹잎이다. 겨울눈 : 삼각형이며, 5~7개의 눈비늘조각에 싸여 있다. 꽃 : 양성화. 흔히 겹꽃의 붉은색 꽃이 피며, 품종에 따라 색이 다양하다. 열매 : 장미과. 다육질의 항아리 모양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덩굴장미는 덩굴을 뻗어 자라면서 장미꽃을 피운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는 찔레 또는 덩굴찔레라고 하였으며, 기원전 200년경부터 여러 종류의 장미원종이 복잡하게 교배하여 이루어진 잡종성 관상용 화훼장미를 지칭한다. 대개 온대와 아한대 지역에 자라는 장미속(屬)의 50~60종의 원종이 이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덩굴찔레가 더 적합한 이름이지만, 일반적으로 덩굴장미 또는 목향장미라고 한다. 유사종으로 흰색 꽃이 피는 ..

국수나무 - 거렁뱅이나무

산길 옆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 꽃 : 양성화. 새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핀다. 뿌리 : 천근형. 수평으로 넓게 퍼지고, 분지가 많다. 잎 : 어긋나기. 가장자리에는 몇 개의 얕은 결각과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수피 : 연한 회갈색이고, 성장함에 따라 세로로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열매 : 골돌과. 구형이며, 하나의 씨방 안에 1~2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겨울눈 : 가지 끝이 마르고 끝눈은 발달하지 않는다. 5~8장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국수나무라는 이름은 가지를 잘라 벗기면 국수같이 하얀 줄기가 나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줄기의 골속이 국수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가지가 늘어져서 덤불 모양이고 묵은 가지와 새 가지가 섞여서 그 모양이 말쑥하..

갯버들 - 버들강아지, 버들개지

수변 경관에 잘 어울리는 조경수 암꽃 꽃 : 암수딴그루. 3~4월에 지난해에 자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잎보다 먼저 꽃이 핀다. 수꽃 잎 : 어긋나기.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뿌리 : 중근형. 소·중경의 수하근과 수평근이 발달한다. 열매 : 삭과. 열매이삭은 원주형이며, 성숙하면 열리고 솜털에 싸인 종자가 나온다. 겨울눈 : 꽃눈은 물방울형이며 굵고, 아래쪽이 부풀어 있다. 잎눈은 꽃눈보다 작고 가늘다. 물이 흐르는 가장자리를 ‘갯가’라 한다. 갯버들은 주로 갯가에 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물가를 의미하는 포(浦)와 버드나무(柳)를 합쳐서 포류라 부르기도 한다. 갯버들이 피운 기다란 꽃이삭이 강아지 꼬리처럼 생겨서, 버들강아지 혹은 버들개지라고도 부른다. 잎이 채 나기도 전에 ..

참식나무 - 새로 나온 잎이 특이한

참식나무 - 경운스님과 인도공주의 사랑이야기 암꽃 꽃 : 암수딴그루. 잎겨드랑이에 황백색 꽃이 모여 핀다. 수꽃 잎 : 어긋나기.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을 찢으면 장뇌향내가 난다. 새잎 : 새잎은 아래로 처지고 황갈색 비단털로 덮여있다. 열매 : 장과. 구형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꽃과 열매를 동시에 볼 수 있다. 겨울눈 : 잎눈은 긴 타원형이고, 꽃눈은 둥글다. 끝눈은 모여나고, 곁눈은 어긋난다. 불갑사(佛甲寺)는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불갑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가 백제에 불교를 전래하고 최초로 창건한 유서 깊은 사찰이다. 불갑사에는 보물 제830호 대웅전, 보물 제1377호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보물 제1470호 불복장전적(佛腹藏典籍) 등 많은 문화재..

팥꽃나무 - 예전에 낙태약으로 쓰였다

꽃봉오리는 생약명으로 원화(芫花)라 하며 한약재로 사용 잎 : 마주나기. 잎몸은 날씬한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뒷면에 연녹색의 부드러운 털이 많다. 겨울눈 : 눈비늘이 없는 맨눈이다. 반구형이며, 흰색 솜털로 덮여있다. 꽃 : 양성화. 잎이 나오기 전에 전년지 끝에서 3~7개의 홍자색 꽃이 모여 핀다. 3월부터 5월 사이에 라일락처럼 생긴 꽃이 가지에 다닥다닥 붙어 피는데, 꽃색이 팥알 색깔과 비슷하여 팥꽃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팥꽃나무 꽃이 등나무 꽃과 비슷하다 하여 일본 이름은 후지모도키(藤擬キ)이며, 라일락꽃과 비슷하다 하여 영어 이름은 라일락 다프네(Lilac daphne)이다. 잎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를 따서 말린 것을 생약명으로 원화(芫花)라고 하는데, 독이 많은 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