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

첨성대 - 신라의 천문 관측소

소소한 소선생 2022. 3. 11. 05:27
반응형

첨성대는 고려 충렬왕 때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삼국유사(1281~1283)에서 처음 그 기록이 나온다.

신라 선덕여왕 때(632~647) 첨성대를 쌓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니 첨성대 건축 후 기록으로 남기까지는 최소 640여 년의 시간차가 발생한 셈이다.

첨성대에 대한 기록은 이때의 기록이 최초의 역사적 기록인데, 이후 173년 뒤 조선시대에 발간된 세종실록지리지에 그 기록이 또 남아 있고, 이후 76년이 지나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인용하면서 처음으로 "천문 관측소"라는 기록이 등장한다.

 

첨성대(瞻星臺)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별을 관측하기 위해 만든 대(臺)

→ ≪삼국유사에 선덕여왕 때 돌을 다듬어 쌓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고대국가는 점성술이 중요시되었으며, 이는 정치와도 관련이 깊다.

● 구조

사각형의 기단부, 원통형의 중앙부, 사각형의 상층부 등 3부분으로 구분

최하층 기단부는 정방형 기단의 2단으로 구성

중앙부는 잘 다듬지 않은 돌을 원통형으로 쌓아올려 27단을 형성

   → 27대 선덕여왕을 상징

정상부는 다듬은 화강석을 2단으로 쌓아 정자형을 이룸

- 전체 총단수는 31단, 높이 9.5m

- 돌의 숫자는 362개, 원통부만 366, 보조석까지 계산하면 377개로 볼 수 있다.

   → 이는 1365일과 관계가 있다.

첨성대 동영상

동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