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춘화 3

풍년화 - 풍년을 불러오는 꽃나무

일본이 원산지인 꽃나무 꽃 : 양성화.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 1개 또는 여러 개의 노란색 꽃이 핀다. 수피 : 연한 갈색이며 타원상의 껍질눈이 있다. 성장함에 따라 회갈색으로 변한다. 열매 : 삭과. 달걀 모양의 구형이며, 갈색으로 익는다. 익으면 2갈래로 갈라져 2개의 종자가 나온다. 겨울눈 : 꽃눈은 달걀형이며 눈자루가 있고, 2~4개가 무리로 달린다. 눈비늘이 있지만 일찍 떨어진다. 잎 : 어긋나며, 약간 찌그러진 마름모꼴이다. 잎모양은 변화가 많으며, 좌우가 비대칭형이다. 붉은풍년화(Loropetalum chinense) 풍년화의 원산지는 일본이다. 일본에서는 만사쿠(滿作)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이는 풍작(豐作)을 뜻한다. 1931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면서 비슷한 뜻의 풍년화라는 이름으..

영춘화 - 가장 먼저 봄을 맞이 하는 꽃

꽃 : 양성화. 전년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노란색 꽃이 1개씩 핀다. 잎 : 마주나기. 3장의 작은잎이 모여 달리는 세겹잎이다. 세 잎 중에서 가운데 작은잎이 가장 크다. 열매 : 장과. 국내에서는 열매를 잘 맺지 않는다. 겨울눈 : 달걀형이며, 자갈색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영춘화 – 꽃말은 '희망' 영춘화는 이름 그대로 ‘봄[春]을 맞이하는[迎] 꽃[花]’이다. 같은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개나리는 물론 매화, 산수유보다도 먼저 꽃을 피워 봄을 맞이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이름도 영춘화이다. 서양에서는 겨울에 피는 자스민이라 하여 윈터 자스민(Winter jasmine), 일본에서는 꽃색이 노랗고 매화를 닮았다고 하여 오우바이(黃梅)라 부른다. 모두 이른 봄에 꽃이 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
반응형